상부 관절낭 이식술 (어깨 힘줄 이식술)

제2정형외과 고대철 부장

 스포츠 활동이 점차 증가하면서 특히 수영, 배드민턴, 헬스 등 무리하거나 팔을 많이 쓰는 직업적 환경에 노출 되어 있을 경우나 잘못된 자세 등이 누적되는 경우에 50~70대 이상에서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분들 중에는 회전근개 파열이 흔히 많이 있습니다. 어깨 회전근개 파열이 심할 경우(봉합이 불가능한 광범위 파열)에 최근 대두되고 있는 새로운 수술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파열의 정도가 심하지 않을 경우는 관절경적 봉합술로 가능하나 간과되었을 경우에는 회전근개 파열이 심해지고, 범위가 커졌을 경우에는 상부관절낭 이식술(어깨 힘줄 이식술)이 추천됩니다. 대체적인 회전근개 파열의 코스를 보면 부분 파열로 시작 되다가 경과되면 소, 중, 대 파열로 나빠지다가 광범위 파 열로 지속되면 파열된 부위가 지방변성으로 인해 퇴축되며 빈 공간만큼 상완골의 상승으로 인해 편 마모가 진행되면서 결국에는 회전근개 파열로 인한 어깨 관절염으로 진행되어 고생하시는 분이 많습니다.


상부 관절낭 이식술은 일차적으로는 통증 회복에 초점을 맞춘 수술이며 어깨 관절염으로 진행을 늦추는 근치적 수술로 이해하시면 되겠고 꽤 만족도가 높은 수술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근치적 수술: 질환을 완전히 고치는 것을 목적으로 시행하는 수술을 말합니다.

 수술 전에는 다른 질환과 마찬가지로 임상적 증상을 체크 하고 이학적 검사를 실시하며 MRI 검사로 치료 계획을 확정합니다. 수술 방법을 간략히 소개하면 봉합 불가능한 회전근개 부위에 동종진피편을 대치하여 이식하는 방법으로 진행되며 절개술이 아닌 미세 절개를 이용한 관절경으로 진행되므로 술후 회복이 빠르며 자기관절을 보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수술 후 기본적인 물리치료와 CPM을 이용한 관절 각도 회복을 시키며 점차적으로 도수치료 및 충격파를 이용한 굳은 관절의 회복 및 주변 근력의 강화가 필요합니다. 대체적으로 수술 및 물리재활을 통해서 3개월에 정상 힘줄의 70% 강도 회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회전근개 파열이 심한 경우에는 별다른 치료의 선택지가 없었고 인공관절 수술 밖에는 방법이 없었으나 관절경적 상부 관절낭 이식술의 등장으로 치료법에 새로운 장을 여는 계기가 된 것입니다.
관절막 재건술 (Superior Capsular Reconstruction)
 봉합 불가능한 회전근개 파열에 시행하는 수술입니다. 손상이 커서 회복하기 어려운 극상근, 극하근이 손상되었을 때, 상완관절염 증상이 없거나 최소 진행 단계일 때 시행됩니다. 큰 근육의 활동적인 어깨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심각한 뼈 손상이 없는 장점이 있습니다. 인공관절이 아닌 자신의 관절을 살려 수술하는 자기관절보존 수술이므로 재활에 있어 상대적으로 빠르게 재활치료가 가능합니다.
*극상근: 상왈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상완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팔을 들어 올리는 데 도움이 됩니다. 
*극하근: 어깨를 회전시키고 확장시키는 주요 근육입니다.
​​​​​​​

아래 다른 소식도 확인해보세요 :)

Back to Top